GLP-1을 공부해보자 (2) - 제품 비교

2024. 10. 19. 15:42공부

반응형

GLP-1 의약품 2024 기준 각론

이전글: GLP-1에 대한 개요

당뇨에선 가장 인기있는듯

오늘은 GLP-1에 어떤 약이 있는지를 좀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단 GLP-1은 우리 몸에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호르몬입니다. 하지만 우리 몸에 있는 DPP4 (Dipeptidyl Peptidase 4)라는 효소가 GLP-1을 분해하기 때문에 호르몬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 원하는 약효가 나타나지 않거나 치료에 의미 있을 만큼 오래 작용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항상 그렇듯, 유사한 구조를 지니게 되나 GLP-1과 가까운 것들을 찾게 됩니다. 

최초가 엑세나타이드였고, 그 다음이 삭센다 (Liraglutide)와 위고비 (Semaglutide)입니다. 그리고 금광의 향기를 맡았는지지 후속으로 따라오고고 있는 GLP-1 계열 의약품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최대한 많이 알아보려고 합니다. 

<GLP-1 작용제>

GLP-1 작용제들은 이렇듯 전부 단백질 의약품인데 그냥 단백질이 아니라 GLP-1의 재조합 단백질들입니다. 그 중 일부는 특정 아미노산 잔기에 화합물이나 지방산이 달려 있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아래 표는 지금 2형 당뇨에 허가가 되어 있는 의약품들입니다. 

GLP-1 Agonist Starting Dose Max Dose Products
Albiglutide 30 mg once weekly 50 mg weekly 이페르잔주
Dulaglutide 0.75 mg once weekly 1.5 mg once weekly 트루리시티주
Exenatide (immediate-release) 5 mcg subcutaneously twice daily 10 mcg subcutaneously twice daily 비예타주 (Byetta)
Exenatide (extended-release) 2 mg subcutaneously once weekly 2 mg subcutaneously once weekly 바이두레온주 (Bydureon)
Liraglutide 0.6 mg subcutaneously once daily 1.8 mg subcutaneously once daily 빅토자펜주, 삭센다펜주
Liraglutide/insulin degludec insulin degludec 10 units and liraglutide 0.36 mg once daily 50 units insulin degludec and 1.8 mg liraglutide daily 줄토피플렉스터치펜주
Lixisenatide 10 mcg subcutaneously once daily 20 mcg once daily 아드릭신주
Lixisenatide/insulin glargine insulin glargine 15 units and lixisenatide 5 mcg once daily 60 units insulin glargine and 20 mcg lixisenatide once daily 솔리쿠아펜주
Semaglutide 0.25 mg subcutaneously once weekly 1 mg once weekly 오젬픽펜주, 위고비펜주
Tirzepatide 2.5 mg SQ once weekly 5.0 mg SQ once weekly  마운자로주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인슐린과 복합되어 있는 것들이 꽤 있습니다. 어차피 매일 맞아야 하는 인슐린과 같이 섞어 놓으면 매일 맞는 GLP-1들은 같이 해결이 됩니다. 

이건 BMJ에서 따온 자료인데, Hb1AC를 비교하고 있는 표입니다. 효과는 감량이 클 수록, 신뢰성은 오차범위가 작을수록 좋습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허가된 의약품 중 가장 효과가 좋은건 세마글루타이드로 오젬픽, 2020년도 자료에 의하면 가장 흔하게 나가는 것은 당뇨약 국한 둘라글루타이드로 트루리시티가 가장 잘 나간다고 합니다. 또 이 표를 봤을 때 솔리쿠아보다는 줄토피가 선호가 되는 것은 효과도 좋고 더 자료가 많고 신뢰성도 더 높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 이전 포스팅에서 이들의 혈당 감소 기전이 위배출시간 증가와 음식물 섭취의 감소에서 크게 기여를 한다는 부분에서 이들은 체중 감량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약물군은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활발하게 활용이 되고, 최근에 심혈관계 위험도 낮추는 것과 지방간 개선에도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관련된 적응증으로도 같이 임상을 하는 추세입니다. 

아직 출시가 되지 않았지만 릴리의 마즈두타이드 (Mazdutide)가 20주에 -20.9% 감량으로 매우 강력하게 나타났고, 암젠의 AMG-133가 12주에 -16%, 미국 바이킹 테라퓨틱스가 13주에 -13%로 상당히 강력한 경쟁약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거 보면 지금 GLP-1은 거의 의약업계에서는 전쟁터 수준으로 뛰어들고 있긴 합니다. 지금은 위 표에서 비만에 허가가 되는 의약품은 삭센다 (Liraglutide)와 위고비 (Semaglutide) 뿐이지만 앞으로 더 경쟁력있는 약들이 많이 나올 예정입니다. 

일반적인 GLP-1의 부작용은 소화불량, 복부팽만, 구역감, 변비 등입니다. 장기적으로 투여했을 때 에너지 섭취 감소로 인해 근육 감소 (당연한 겁니다), 골다공증 (GLP-1이 RANKL 계통통과 관여한답니다)이 있을 수 있다는 부분입니다. 2형 당뇨가 아니라 1형 당뇨인 경우는 저혈당 유발 가능성 때문에 투여 금기입니다.

이게 또 약마다 발생 빈도가 달라서 앞으로 자료가 좀 더 나오면 부작용 비교도 좀 연구좀 해보고 한번 포스팅 하겠습니다. 

참고표*

Dosing Frequency GLP-1 Agonist
Once Weekly Albiglutide
Dulaglutide (트루리시티)
Exenatide (extended-release)
Semaglutide (위고비)
Once Daily Exenatide (immediate-release)
Liraglutide (삭센다)
Liraglutide/insulin degludec (줄토피)
Lixisenatide
Lixisenatide/insulin glargine (솔리쿠아)

출처: 

  1. https://www.nature.com/articles/s41392-024-01931-z
  2. https://www.koreamed.org/SearchBasic.php?RID=2554626
  3.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042958/
  4.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042958/
  5.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72151/
  6. https://www.bmj.com/content/384/bmj-2023-076410
  7.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002/edm2.462
  8. https://www.pharms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329146
  9. https://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27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