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P-1을 공부해보자 (1)

2024. 10. 17. 19:59공부

반응형

경고: 다소 혐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위고비 (Wegovy)가 상륙을 했기 때문에 지금 와서 공부를 부랴 부랴 하는 느낌입니다. GLP-1 의약품은 삭센다 (Saxenda)로 부터 비만 치료제로 각광 받기 시작하면서 부터 인기가 급격하게 올라가게 됐었는데 최근에는 일론 머스크가 살을 잔뜩 빼면서 어떻게 했냐 그랬더니 ‘위고비'로 단답을 했기 때문에 더 이슈가 되었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13키로를 감량하기 전 (좌), 감량한 후 (우) 입니다. 위고비로 살을 정말 많이 뺐다고 합니다. 정말 많이 빠졌습니다. 저도 딱 13키로 정도 빼면 좋겠다는 생각 하는데 혹하게 되네요. 

그래서 GLP란 구체적으로 무엇일까? 

GLP-1 (Glucagon-Like Peptide-1)은 인크레틴 계통의 호르몬 작용을 하는 단백질입니다. 인크레틴은 음식 섭취 후에 위장관에서 분비되어 췌장의 포도당으로 인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을 뜻합니다. GLP-1과 같은 경우 식사를 하게 되면 소장에서 분비가 되고 주요 기능에는 인슐린 분비 세포 보호와 분화 촉진, 글루카곤 억제, 식욕 억제 효과가 있습니다. 

그 외에도, 위장 배출을 지연하는 효과,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는 효과, 혈중 지질 대사 조절하는 효과 등이 있어 살이 빠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 뿐만이 아니라 뇌신경의 염증을 줄여주는 효과, 신경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 심장 보호 효과 등이 있어 적응증 확대가 기대가 되는 약물군입니다. 다만 2형 당뇨병이 있는 환자군에서 종양생성과 관련이 있는 부분이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연구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GLP-1, GLP-1 수용체 작용제의 발견 

 

GLP-1의 발견

GLP-1은 1986년에 젠스 줄 홀트 (Jens Juul Holst)와 요엘 하베너 (Joel Habener)가 각기 독립적으로 발견을 하고, 이후에 이 물질이 생리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여러 발견이 순차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의약품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길을 터놓았습니다.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어떻게 발견됐나

미국독도마뱀 (Gila monster)는 자기 자신의 몸무게의 절반에 해당하는 음식을 한자리에서 먹을 수 있습니다.  1992년 존 엔 (John Eng) 박사가 독도마뱀이 밥을 먹고도 혈당이 안정적인 것에 착안을 했는데, 독도마뱀에서 발견된 성분인 엑센딘-4 (Exendin-4)이 그 혈당 조절에 기여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이 성분이 우리 몸에 발견되는 GLP-1과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착안해 만든 약이 비예타 (Byetta, exenatide)입니다. 이게 GLP-1 계열에서는 최초가 됐지만 이 때 당시에는 적응증이 2형 당뇨밖에 없었기 때문에 인지도가 높지 않았습니다. 

GLP-1은 포만감 호르몬

GLP-1의 혈당 감소 효과는 주로 위배출 시간 (Gastric emptying time)을 늘리고 그에 따라 당의 흡수 속도를 줄여줌으로써 혈당 강하 효과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는 것이 최근 관점입니다. 물론 GLP-1이 단기적으로는 당 의존성 인슐린 분비를 늘려주지만 장기적으로는 인슐린 분비의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인크레틴의 특성에 맞지 않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어찌 되었던 GLP-1이 포만감과 연관된다는 것이 1996년도에 발견이 되었고, 이를 이용해 비만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 2000년도 초반부터 연구가 시작되었던 것입니다. 

GLP-1 의약품 현 상황 

이미 2형 당뇨에서는 활발하게 사용이 되고 있고, 위고비만 봐도 알다시피피 비만 치료에도 활발하게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확대될 수 있을법한 분야로 임상 실험 단계에서는 심혈관계 질환을 개선하는 부분과 알츠하이머와 같은 신경과 질환에도 사용될 수 있을지 알아보고 있습니다. 

또 사용이 확대가 되면서 부작용에 대한 이해도 더 올라가고 있습니다. 구역감과 복부 팽만감과 같이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도 있지만 2형 당뇨병 환자군에서 암 생성에 관여를 한다는 이야기와 골다공증에 대한 내용이 있어 앞으로 장기적인 사용에 대한 내용이나 특정 위험군들에 대해서 새로운 이야기들이 나올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어떤 GLP-1 제품들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려고자 합니다

출처: 

  1.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632
  2. https://pubmed.ncbi.nlm.nih.gov/15271645/
  3. https://www.jci.org/articles/view/175634
  4.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30-024-01460-6
  5. https://pubmed.ncbi.nlm.nih.gov/35635627/
  6. https://www.pnas.org/doi/10.1073/pnas.24155501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