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낮추는 약 (3) - 페노피브레이트 (Fenofibrate)

2025. 2. 7. 11:35공부

반응형

콜레스테롤 낮추는 약 (3) - 페노피브레이트 (Fenofibrate)

// 배경

고지혈증약으로 흔히 사용되는 약 중 하나입니다. 스타틴이 나오기 전부터 허가를 받고 시판하고 있는 약인데 1974년에 처음 합성되어 1975년부터 시판되기 시작한 약입니다. 스타틴이 나오기 전에는 마땅한 약이 없어서 주된 약으로 사용했으나 현재로서는 대부분 스타틴과 병용한 보조요법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메커니즘 

페노피브레이트는 PPAR-ɑ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라 부르는 핵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수용체는 지질대사를 관여하는데 그 관여를 하는 경로가 하위 신호전달을 통해 간에서 관련 단백질 합성을 조절하고, 대사를 조절합니다. 이를 통해 HDL이 올라가고, LDL과 중성지방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그것과 더불어서 간에서 지방대사를 높혀줘 전반적으로 몸과 혈중 지방 수준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여기서 좀 주의를 해야하는 것은 합성된 콜레스테롤 양의 차이만이 그냥 LDL 낮추고 HDL 높이는 것이 아닙니다. PPAR의 활성화로 인해 LDL 표지 단백질 자체를 합성을 낮추는 것이고, HDL의 표지 단백질 합성을 늘리는 등의 PPAR의 하위 기능이 활성화 되는 것입니다. 지질 대사가 늘어나는 것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PPAR-ɑ의 활성화는 간 내로 지방을 들여오는 것을 촉진시켜 간에서 대사를 해 배출하거나 소모시켜버리는 것을 활성화하는 것입니다. 

또 PPAR-ɑ의 활성화는 근육이나 지방세포에서 역시 대사를 촉진시키는 활성화 인자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사실 당뇨약 중에 PPAR-ɑ가 아니라 PPAR-γ 작용제제가 비슷한 역할을 하면서 인슐린 민감도를 잘 올려주기 때문에 비슷한 계통의 표적 중에 다른 대사 질환을 다루는 약물군이 있었습니다. (PPAR-γ 작용제 글)

// 임상효과

임상효과는 임상마다 다르지만 한 임상에서는 LDL 18-25% 정도 줄여주고, TG 40-48% 줄여주고, HDL을  35-36% 늘려주는 효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 HDL을 높여주는 효과 덕분에 전체적으로 지질로 인해 나타나는 염증 효과들을 줄여준다는 최근 보고도 있었습니다.

에제티미브는 역시 기대된대로 중성지방에는 거의 아무런 효과가 없었고, LDL에서는 페노피브레이트와 복합시에는 피브레이트 약물효과가 약 50% 정도 향상되는 성과가 있었습니다. 

// 제품

가장 오리지널 제품은 리피딜슈프라겠습니다. 사진은 위에 제목에 붙여놨는데 약 함량이 160 mg라 그런지 알약이 다소 큰 편입니다. 

리피딜슈프라는 그냥 정제인데 과립캡슐로 나오는 제품들이 국내에는 꽤 있고, 리필펜캡슐을 예시로 들었습니다. 해당 제형은 160 mg인데 회사에 따라 200 mg, 320 mg대 약물들이 있습니다. 

티지페논은 특이하게 콜린염으로 되어 있는 페노피브레이트 제형이고 매끈하게 코팅되어 있어 종종 보이는 제품입니다. 

페노피브레이트는 LDL 낮추는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어 에제티미브와도 병용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아예 에제티미브와 페노피브레이트를 복합한 제품이 있습니다. (이름도 알기 편하게 각 성분의 앞 두글자만 따놨네요. 

스타펜과 같은 제품은 위와 같이 마찬가지로 LDL 문제 때문에 스타틴과 섞어놓은 제품의 예시입니다. 리바로의 성분인 피타바스타틴이 같이 섞여 있는 페노피브레이트 제품입니다. 

마지막 예시는 마찬가지로 위와 같은 스타틴 복합제인데 메바로친의 주성분인 프라바스타틴과 섞여 있습니다. 

// 마치며

고지혈증 약물군은 약물이 많지 않지만 하나 하나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하나하나의 효과를 좀 더 자세히 뜯어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또 복합제가 워낙 많고 정신 놓고 있다 보면 같은 약물군이 섞여있다던가 하는 일이 발생해서 복합제들은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이 듭니다. 

참고 문헌:

  1. https://www.ahajournals.org/doi/10.1161/01.CIR.98.19.2088
  2. https://www.musechem.com/blog/recent-research-and-emerging-applications-of-fenofibrate/
  3.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endocrinology/articles/10.3389/fendo.2022.1074911/full#B35
  4.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171908/
  5.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22513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