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뷰] 천연가스, 오를때가 되었지 않았나?

2019. 5. 13. 15:43투자

반응형

#천가 #천연가스 #원자재 #ETN #LNG

현재 천연가스는 역대 최저점에 머물러 있는 원자재(Commodity)다. 아래 선물 그래프를 참조하면 최근 가격대가 2.6p에서 형성이 되고 있는데 1계약당 10000 MMBtu 단위고 1p의 값어치는 $10,000로 형성이 되어 있다. 52주 고가는 4.912였다. 근데 흥미로운 점은 최근에 가격은 과거에 있었던 가격대에 비해 상당히 많이 낮아져있는 상태라는 점이다. 

원자재 천연가스 최근 가격 변동 추이

우선 천연가스는 3가지 요인이 가격움직임에 크게 작용한다. 

1. 재고량
천연가스의 재고량이 상당히 가격에 많은 영향을 미쳐왔던 지표 중 하나다. 

재고변동량 추이

재고량의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인데 겨울, 여름에 보통 소비를 하는데 그 중 겨울에 제일 많은 소비를 하게 된다. 보통 통 하계에는 에어컨 때문에 저 그래프에서 골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고, 그 의미는 생산량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소비를 하는 것이고 겨울에는 생산량보다 월등히 많이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 소비량
언제 소비를 하는지, 소비의 원인은 보통 무엇인지는 위의 그래프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미국 재고량 기준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특히 겨울이 추울수록 소비량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근래에 가장 추웠던 겨울로 기록되었던 1819 겨울에 재고변동량 골이 가장 깊은 것을 볼 수 있다. 

3. 생산량
생산량 또한 상당한 펙터가 되었다. 원래는 천연가스 생산량이 일정한 편이라서 큰 고려사항이 되어주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에 생산량이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2006년도서부터 꾸준히 상승하게 된 Natural Gas Production

생산량이 상승하게 된 원인을 셰일가스 혁명으로 꼽고 있다. 딱 2005~2007년 사이에서 시작되기 시작한 것으로 미국에서 천연가스의 생산량은 셰일가스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때와 거의 일치하며, 이에 대한 생산량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천연가스의 가격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http://www.insightenergy.org/system/publication_files/files/000/000/067/original/RREB_Shale_Gas_final_20170315_published.pdf?1494419889)

하지만 계속해서 이러한 가격대를 유지할까? 라는 의문을 해봤다. 왜냐하면 이러한 셰일가스 혁명이 국제 판도를 바꾸는 동시에 여러가지 대외 변수가 급속도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천연가스는 대체에너지 중에서 사용될 만한 에너지원으로 유력하게 꼽히고 있는 바다. 상당한 에너지 소비의 부분이 천연가스로 넘어가고 있으며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이와 더불어 유럽은 에너지 안보를 적절한 천연가스 공급에 의존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나 일본, 그리고 여타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천연가스는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구매를 해야 한다. 
(http://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10113)

최근에는 국제해사기구 (IMO)에서 황산화물 및 질산화물의 배출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에 따라 LNG추진선의 발주가 늘어나는 추세다. 이러한 LNG추진선들의 발주는 최근의 선박 교체주기가 도래하면서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다. 
(http://blog.kogas.or.kr/221038394559)

게다가 천연가스는 액화가스이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보관함을 아무리 잘 만들어도 지속적인 손실이 발생하기 마련이므로 생산된 가스를 되도록이면 팔려고 한다. 미국의 고민은 여기서 있다고 생각하는데 늘어나는 셰일유래 천연가스가 그대로 재고만 쌓여나가는 것을 원치는 않을 것이다. EU는 사실상 천연가스 공급을 러시아로부터 공급을 받고 있는데, 파이프라인이 여러가지 정세에 영향을 받아 에너지 안보를 위해 공급처 다변화를 원할 것이다. 이에 미국은 아마도 유럽으로 천연가스 수출을 기존보다 활성화 시킬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 지금까지는 가격의 하락세를 맞이한 천연가스지만, 이에 맞먹는 수요와 신규 사용처들이 올라오는 것으로 봐서는 가격 반등의 전초가 되지 않을까 싶다. 여기까지는 개인적인 뷰(View)였다.  

[어떻게 투자를 하는가?]
이 글의 목적은 절대적으로 투자 권유가 아니다. 제 개인적인 자료정리의 장소이기도 한 것이다. 항상 투자에 있어 모든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린다. 

관련 종목등은 다음과 같다. 

신한 레버리지 천연가스 선물 ETN
삼성 레버리지 천연가스 선물 ETN
(미국) VelocityShares 3x Long Natural Gas ETN linked to the S&P GSCI(R) Natural Gas Excess Return Index (UGAZ)

 

삼성 레버리지 천연가스 선물 ETN - 네이버 금융 : 네이버 금융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신한 레버리지 천연가스 선물 ETN(H) - 네이버 금융 : 네이버 금융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