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를 위한 바이오 투자 - (1)

2019. 6. 29. 15:03투자

반응형

사실상 바이오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생물에 대한 지식이 조금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생물 이야기를 조금 하고자 한다. 그래야 여기서 말하는 것들이 무엇을 하는지 대충이라도 알 수 있을것 같아서 말이다. 

사실 이것에 대해 기획을 하는 이유는 우리 투자자 분들이 ‘세포’와 ‘세포 유래 단백질’을 구분 못하시는 분들이 많이 보인게 일단 최초 계기다. 또한 최근에 장이 좀 그렇기도 하고 '초심으로 돌아가기'의 일환이기도 하다. 기초적인 생물 지식에 대한 이해 없이 바이오 투자를 한다면 언젠가 잘못된 정보나 착오로 인해 큰 손해를 볼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다. 

뭐 일부분은 학창 시절에 배웠던 내용들일 수 있다. 이제부터는 생물 내용이다. 

모든 생물은 세포로 이루어져있다. 세포는 영어로 ‘cell’이라 부르는데 그 고전적인 의미는 격리된 방이다. 왜 ‘cell’이라는 단어가 우리가 지금 아는 생명의 단위인 세포가 되었는가 하면 세포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된 공간이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세포의 구조다.

구조적으로 보자면 모든 세포는 ‘인지질 이중층’에 의해 둘러쌓여 있다. 그것을 ‘세포막’이라 부르고 그 세포막은 유동적인 동시에 많은 단백질이 인지질에 박혀있거나 붙어있다. 

세포막에는 다양한 성분들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인지질'이라는 성분 속에 콜레스테롤과 여러가지 세포막에 붙어있거나 박혀있는 단백질이 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세포의 표면에 뭐가 많아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세포막 위의 단백질은 다 제각각의 역할이 있는데 세포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들은 당단백질들, 그리고 세포 골격에 해당하는 필라멘트다. 당단백질들은 세포 밖에 탄수화물 사슬을 꺼내놓는데 다른 세포들은 이러한 당의 구조를 인식함으로 서로를 알아보기도 한다. 또한 안에 있는 필라멘트는 세포막이 인지질 이중층만으로는 불안정하므로 추가로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해준다. 

세포는 세포막 안에 추가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일단 세포막에 대해서는 알아봤는데, 그 외에 약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알아야 하는 세포의 구조는 유전물질이 있는 ‘핵’이다. 

세포의 핵이다. 세포 핵은 인지질 이중층이 두번 둘러쌓인 구조로 인지질 이중층 이중막이라는 명칭을 지니고 있다. 또한, 핵 안과 밖으로 이동하려면 핵공이라는 통로를 통하여야 하는데 어떤 물질이 들어갈지 통제를 할 수 있다.


우선 ‘핵’에는 유전물질이 있다. 그 유전 물질은 DNA (Deoxyribonucleic acid)가 주성분이고 아주 아주 많이 있다. 그런데 이 물질은 역할이 안정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는데 있다. DNA는 이중나선구조의 유전단위체의 중합체다. 

DNA는 보통 이중나선 구조로 각각의 유전 물질에 있는 염기인 A, T, G, C들이 A-T, G-C로 짝이 맞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복제될 때 이중나선이 벌어지고 짝에 맞게끔 유전물질이 들어가면서 정확하게 똑같은 쌍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결국에는 A, T, G, C의 배열인데 이 배열에 따라 단백질의 배열이 결정이 된다. 단백질은 결국엔 핵에 있는 유전 물질에 의해 결정이 되고 그 유전물질이 결정한 단백질들은 제각각의 형태와 역할이 결정이 된다. 이 이야기를 하자면 단백질은 어떻게 유전물질에서 단백질로 바뀌는가를 봐야하는데 우선 세포가 단백질을 만들기로 결정을 했으면 핵 내의 DNA가 벌려지면서 특정 기구들이 붙고 mRNA라는 것을 만들어 낸다. 이 과정은 전사라 부른다. DNA로 부터 만들어진 이 mRNA 또한 정보를 지니고 있는 분자다. 이 mRNA는 핵에서 나와서 세포질이라는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그곳에서 리보솜이라는 기구가 붙는다. 그 용도에 따라서 조금 다른 일들이 일어날 수 있으나 일단은 무시하고 단백질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이 과정은 번역이라 부른다.

Sourced from 'www.cancer.gov'

이것이 유전자와 단백질과 연관이 되는 기초적인 생물이론이다. 하지만 여기서부터 더 복잡해진다. 단백질을 세포는 왜 만들까? 단백질들은 그냥 생물이니까 만드는게 아니라 무언가 기능을 하는게 있어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우선은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 시간에는 저렇게 단백질이 만들어진 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