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라자', 8월 21일 헤드라인은 FDA '렉라자' 허가

2024. 8. 21. 23:27공부

반응형

8월 20일 밤부터 뉴스가 나왔는데 한국시간 21일 아침부터 뜬 헤드라인이죠. 미국에서 허가된 기념으로 이번 고가약 시리즈는 렉라자입니다. 이번 미국에서의 허가 내용은 얀센의 항체약인 ‘리브리반트 (Amivantamab-vmjw)’와 ‘렉라자 (Lazertinib)’의 병용요법으로 허가를 받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개발이 된 만큼 잠깐의 역사를 살펴보자면 렉라자는 오스코텍의 자회사인 제노스코로부터 15년도에 유한양행이 가져온 약입니다. 이 약은 또 유한양행이 미국 얀센에 18년도 기술 이전을 해서 최대 1조 4천억을 마일스톤료로 받게 됩니다. 기술 이전 계약에 따르면 오스코텍은 유한양행이 받은 마일스톤료의 40%를 받게 됩니다. 오스코텍이 받는 로열티는 렉라자 국내 판매 금액의 10% 입니다. 

허가 사항 

우리나라에서는 EGFR의 엑손 19 결손, 엑손 21 (L858R) 치환 변이된 국소 진행성 NSCLC 환자의 1차 치료, 혹은 기존 EGFR-TKI로 치료 받은 적이 있는 EGFR T790M 변이된 NSCLC 환자의 치료에 허가가 되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단독 요법으로 급여가 나오는 약재입니다.

용법 & 약가

1일 1회 3알 매일 먹도록 되어 있습니다. 부작용이 발생하면 부작용의 정도에 따라 평가를 한 뒤 1일 1회 2알로 용량 조절이 가능한 약입니다. 

일반적인 용법으로 복용시 1박스 84알짜리가 28일치입니다. 1알이 급여가로 63370원이기 때문에 1 박스에 약가가 5,323,080원이 되겠습니다. 산정특례가 되시는 분들은 5%만 내시기 때문에 26-7만원 선에서 약을 가져가시는 것 같습니다. 직접적인 경쟁약인 타그리소도 1달치에는 비슷한 가격대입니다. 계속 먹는 약이고 진료도 계속 보는 약이기 때문에 1년 약제비가 약 7천만원대로 상당합니다. 

EGFR 의약품들의 발전 배경

표적항암치료제가 좋다는 것은 사실 다른 암종의 글리벡에서 부터 입증이 되었었고, 그 가능성을 놓고 보았을 때 좋을 것이다라는 힌트를 얻은 뒤 개발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던 것 같습니다. EGFR 계통에서는 1세대에서 3세대로 분류 하고 있는데 지금의 표준인 ‘타그리소’, 그리고 지금의 주인공인 ‘렉라자’ 역시 3세대 의약품들입니다. 최초 EGFR 계통 의약품은 이레싸 (Gefitinib), 타쎄바 (Erlotinib) 등이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이 약재들을 사용할 경우에 T790M 돌연변이가 발생하면서 내성이 생기게 되는데 후속으로 나오는 3세대 TKI들이 대부분 이 부분을 해결하게 됩니다. 3세대 TKI들을 써보니 일단 환자들이 오래 살고, 암에도 엄청난 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1차 치료제들로 자리 잡게 되는 배경이 나옵니다. 이런 와중에 1세대 2세대 계통 TKI들은 거의 사장이 되는 실정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개인적인 느낌상 지오트립(Afatinib)은 여전히 많이 보이긴 합니다만 대세는 렉라자와 타그리소로 기운 것 같긴 합니다. 

타그리소와 렉라자가 중요한 이유는 물론 T790M 돌연변이 환자에도 효과가 좋은 것 뿐만 아니라 뇌 전이 환자에도 쓰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출처는 hitnews, 밑에 링크 있습니다

NSCLC 환자들의 고질병 자체가 CNS 계통으로 전이가 잘 된다는 점이고 BBB를 통과 못하는 약들은 이런 전이에 대응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런 부분을 잘 해결해 주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이런 배경이 훨씬 더 가격은 비싼데도 대세가 기우는데 크게 기여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번에 미국의 허가된 조합은 MARIPOSA 임상의 리브리반트와 렉라자의 병용 요법입니다. 이미 임상 상 타그리소 단독 요법 대비 PFS 23.7로 유의미하게 우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나왔었습니다. 특히 리브리반트는 엑손20 변이 폐암의 1차 치료제면서 동시에 MET이라는 다른 종류의 TK를 동시에 타겟하는 이중타겟 항체입니다. 

특히 MET은 EGFR 저항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세포 전달 신호의 증폭 작용이 있는데 이런 부분들을 차단하면서 세포 분열을 막고 암세포의 경우 사멸을 유도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출처: 

  1. https://kormedi.com/1713718/%ec%a1%b0%eb%b3%91%ec%b2%a0-%ea%b5%90%ec%88%98-%eb%a0%89%eb%9d%bc%ec%9e%90-%ec%9e%84%ec%83%81-%ec%84%b1%ea%b3%b5%ec%9d%80-%ec%82%ac%eb%aa%85%ec%9d%b4%ec%97%88%eb%8b%a4/
  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0311169/
  3.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0702
  4.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0227
  5.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0307#:~:text=%EA%B5%AD%EB%82%B4%EC%97%90%EC%84%9C%EB%8A%94%202021%EB%85%84%20%EC%B4%88,%EC%A0%84%EB%B0%A9%EC%9C%84%EC%A0%81%EC%9C%BC%EB%A1%9C%20%EC%93%B0%EC%9D%B4%EA%B3%A0%20%EC%9E%88%EB%8B%A4.
  6. https://jhoonline.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3045-022-01391-4
  7.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7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