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9) - 인슐린 주사제 (A)

2024. 11. 30. 12:50공부

반응형

당뇨 (9) - 인슐린 주사제 (A)

당뇨병에는 경구 당뇨약보다는 인슐린을 주사하는 것이 더 역사가 깊습니다. 현재는 대부분의 2형 당뇨 환자들에게 경구약물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특수한 경우거나, 당뇨병이 심화되어 인슐린 분비가 더이상 잘 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에는 인슐린 주사 요법을 시행하게 됩니다. 

> 인슐린 종류

인슐린 종류는 약효 발현 (onset), 최대 약효 까지의 시간 (peak), 총 약효 시간 (duration), 농도 (concentration), 그리고 투여 방법 종류에 따라 구분이 됩니다. 주로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총 약효 시간과 약효 발현에 따라서 자주 구분해 사용합니다. 

 

그 구분에 따라 미국당뇨학회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에서 사용하고 있는 구분은 초속효성 유사체 (Ultra Rapid Acting Analog, URAA), 속효성 유사체 (Rapid Acting Analog, RAA), 중간형 유사체 (Intermediate Acting Analog, IAA), 지속형 유사체 (Long Acting Analog, LAA) 등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같이 U100 제품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U100이란 mL 당 100 IU의 인슐린 용량이 들어있는 것입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U200, U300, U500 제품들도 있으나 우리나라는 U100으로 통일되어 있습니다. 

> 전략 

 

이 여러가지 종류들의 인슐린들을 가지고 몸에서 분비하는 것을 따라하는 방식으로 투여하는 것을 따르는 것이 혈당 조절을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보통 사용합니다. 일종의 혈당 조절 전략을 갖고 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일반적으로 아무것도 먹고 있지 않다고 해서 우리 몸에서는 인슐린이 나오지 않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기본적인 인슐린을 기저 인슐린 (basal insulin)이라고 합니다. 최근 들어서는 그것이 인슐린 글라진 (Insulin glargine)이나 인슐린 디글루덱 (Insulin degludec)과 같이 매우 긴 지속형 유사체들을 사용하는 이유는 이런 기저 인슐린의 효과를 모방하기 위함입니다. 

또 식사마다 인슐린이 나오는 것을 모방하기 위해 속효성 또는 초속효성 인슐린을 식사하기 전 마다 맞거나, 중간형 인슐린을 하루 두 번 정도 맞는 전략 역시 있습니다. 

사람마다 반응하는 정도와 양상이 달라서 보통 입원해서 혈당 측정을 면밀히 하면서 투여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 유사체 (Analog)?

쉽게 말하면 완전히 인슐린과 같은게 아니라 살짝 변형을 가해 약에 걸맞는 효과를 내도록 설계한 합성 단백질이라는 뜻입니다. 

> 약물 종류

약국에서 주로 불출하는 인슐린 투여 제품은 플렉스펜 혹은 퀵펜이라는 투여 기기고 자가 투여를 하는 것 중에서는 이와 같은 기기를 일회 사용 후 폐기를 하는 기기들이 아니라면 대부분 공유를 하고 있는 형태의 기기입니다. 그것이 아니라면 바이알 형태로도 나오고 있습니다. 바이알의 경우에는 소형 주사기로 직접 뽑아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인슐린 펌프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 피아스프

피아스프는 노보래피드의 초속효성 형태 제품입니다. 가속제 (accelerant)라는 것을 넣어서 더 빠르게 인슐린이 혈중으로 들어가도록 설계된 제품입니다. 들어간 가속제는 나이아신아미드와 L-아르기닌으로 혈관확장을 유도해 단백질이 더 빠르게 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고 합니다. 

>> 노보래피드

노보래피드는 인슐린 아스파트로 속효성 인슐린에 해당합니다. 보통은 플렉스펜을 사용합니다. U100의 노보래피드는 액이 무색이고 보관조건은 섭씨 2도에서 8도입니다. 다만 사용시 실온 25도 이하에서 4주간 보관이 가능합니다. 

>> 룸제브 

룸제브는 인슐린 리스프로로 기존 인슐린 리스프로와 구분이 되는 초속효성 인슐린입니다. 이 제품은 퀵펜을 사용하고 마찬가지로 U100입니다. 주 성분이 기존 리스프로와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차이인가 하면 인슐린이 혈중에 더 잘 돌 수 있는 가속제인 트라닐라스트 (Tranilast)가 들어가서 더 빠르게 효과가 시작된다는 점입니다. 

>> 휴마로그

 

휴마로그가 룸제브 이전 제품이고 속효성 제품으로 분류가 됩니다. 휴마로그 믹스25, 믹스50 제품들이 있어서 구분을 잘 해야하는 제품 중 하나입니다. 

>> 애피드라

인슐린 글루리신이고 속효성 인슐린 중 하나입니다. 솔로스타 역시 펜 제품명입니다. 사노피에서 나오는 펜 제품들이 솔로스타라 불리나봅니다. 

>> 휴물린알

휴물린알만 유일하게 펜형이 없고 주사제만 있는 사람 인슐린 중 일반 인슐린 (Regular insulin) 입니다. 일종의 속효성으로 분류가 됩니다. 

>> 휴물린엔

휴물린은 재조합 사람 인슐린으로 NPH 인슐린입니다. 휴물린엔은 1형 당뇨와 같이 인슐린 분비가 극도로 안 되고 있는 환자에게 선호가 되는 약물군입니다. 여기서부터 중간형 인슐린으로 분류가 됩니다. NPH는 중성 프로타민 하게돈 (Neutral protamine Hagedorn)의 약어인데 하게돈이란 사람이 개발하여 이러한 이름을 붙였습니다. 프로타민이 지연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슐린과 섞여있게 되면 서서히 방출되는 현상이 나타나느 것을 발견해 이렇게 개발을 한 것입니다. 

>> 레버미어

여기서부터는 지속형 인슐린입니다. 주로 기저 인슐린으로 사용되는데 그 중 반감기가 가장 짧은 것이 레버미어주고 인슐린 데테미어 (Insulin detemir)입니다. 

>> 투제오 

 

투제오는 인슐린 글라진 (Insulin glargine)으로 자주 사용되는 종류 중 하나입니다. 역시 마찬가지로 기저 인슐린으로 주로 사용이 됩니다. 이런 기저 인슐린들은 보통 하루 한 번 맞는것이 일반적이고 식사때 속효성 인슐린을 따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전략입니다. 

>> 트레시바 

트레시바가 지속형 인슐린 중에서는 가장 인기 있는 의약품입니다. 인슐린 디글루덱 (Insulin degludec)으로 가장 안정적인 체내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고 마찬가지로 하루 한번 맞도록 되어 있습니다. 

> 마치며 

약국에서 약사로서 인슐린에 대해서 환자에게 막 할 말이 많지는 않는 것은 사실이고 많이 안타까운 부분인 것 같습니다. 특히 앞으로 경구약도 여전히 많이 사용하겠지만, 생물학적 의약품들이 점점 더  주사제 분야에 더 식견을 넓히고 직군의 역할을 발굴해 나가는 것이 미래 과제인 것 같습니다. 

참고 문헌: 

  1.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3300-023-01468-4
  2.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3300-015-0116-0?fromPaywallRec=false
  3. https://dtc.ucsf.edu/types-of-diabetes/type2/treatment-of-type-2-diabetes/medications-and-therapies/type-2-insulin-rx/types-of-insulin/
  4.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Physiological-insulin-secretion-and-pharmacologic-principles-A-Pattern-of-insulin_fig1_354055195
  5. 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2040622315608646
  6. https://www.druginfo.co.kr/detail/product_cp_cancer.aspx?pid=217971
  7.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893
  8.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893
  9.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P-FIASP&searchKeyword=
  10.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263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