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8) - 메글리니타이드 (Repaglinide, Netaglinide, Mitiglinide)

2024. 11. 25. 21:06공부

반응형

당뇨 (8) - 메글리니타이드 (Repaglinide, Netaglinide, Mitiglinide)

경구 당뇨약으로서는 마지막 약물군입니다. 

> 기전 

화학적인 구조는 차이가 있으나 설포닐우레아계랑 기전이 같습니다. 기전이 같기 때문에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고 설포닐우레아계와 메글리티나이드 (Meglitinide)계 약물들을 합쳐서 인슐린 분비촉진제 (Insulin secretagogues)로 분류합니다. 

사실상 표적이 겹치기 때문에 거의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지만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또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다릅니다. 이러한 약물 상호작용 때문에 SU 계열 약물에 밀려서 요즘 잘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위 사진을 보면 A와 B로 구분을 해놨는데 밑에 사진에 있는 SUR1-Kir6.2 복합체에서의 결합 표적과 연관되어 있는 구조들로 구분을 해 놓은 것입니다. 

A 구분이 있는 곳이 SUR에 붙어서 간접적으로 이 칼륨 채널을 막아버리고, B에 붙게 되면 직접적으로 칼륨 채널에 붙어서 억제해 버리는 역할을 합니다. 이것이 세포 내 신호를 보내게 되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게 되는 그 시작입니다. 

> 제품 

우리나라 시장에는 3가지 대표적 제품이 있습니다. 

>> 레파넘정 (Repaglinide)

0.5, 1, 2 mg 제형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1일 2, 3, 4회 식전 15분전 이내에 먹는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초회량은 0.5 mg이고 하루 최대 용량이 16 mg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모든 약들로 혈당 조절을 실패했을 때 사용하는 약물입니다. 

>> 파스틱정 (Nateglinide)

매 식전에 복용하도록 나온 약입니다. 30, 90, 120 mg 제형이 나오고 있고 추천하는 초회 용량은 90 mg 매 식전에 투여하는 것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시에 120 mg 매 식전으로 증량할 수 있도록 나와 있습니다. 

>> 글루패스트정 (Mitiglinide) 

마찬가지로 매 식전 1알씩입니다. 글루패스트정은 10 mg 단일 용량으로만 나오고 있습니다. 

> 참고 사항

이 약물군의 특징은 빠른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는 속효성 약물이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시장에서 엄청나게 밀리는 이유는 뭐 여러가지겠지만 가장 큰 것은 클로피도그렐과 병용 시 저혈당 위험이 증가하는 상호작용이 있어서 내과 선생님 입장에서 처방을 하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우선 당뇨를 앓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 심혈관계 문제가 없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입니다. 대부분이 아스피린 내지 클로피도그렐을 필요로 하고 있고, 강력한 CYP 억제제들인 스타틴 계열 약물을 먹어야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상호작용이 있는 약물, 특히 저혈당 쇼크의 위험을 추가하기에는 위험 부담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다음은 다회용법의 귀찮음입니다. 물론 당뇨 환자 분들은 약을 많이 먹어야 합니다. 하지만 투여 횟수가 많은 것이 아닙니다. 최근에 나오는 약물들은 대부분 1일 1회 내지 1일 2회에서 끝나는 경향성이 있습니다. 특히 똑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SU 제형의 디아미크롱 MR 제형들은 1일 1회 내지 2회로 끝날 수 있습니다. 

또 최근 들어서는 혈당의 안정성 역시 주목 받고 있기 때문에 속효성인 이 약물군의 특성상 그런 혈당 안정성을 해치기 때문에 장기적 사용이 오히려 환자의 건강에 부담을 줄 수 있는 도의적인 문제 때문에 약물을 제대로 활용하기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어쨌든 최근처럼 좋은 약물 군들이 많이 나와 있는 상황인지라 자주 볼 수 없게 된 부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 마치며 

사실상 거의 사장된 약물군입니다. 그래서 SU 계열과 같이 다루지 않았고 마지막에 다룬 이유입니다. 그래도 이 약물군을 통해서 어떤 약물들이 어떻게 경쟁 우위를 가지는지 공부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됐던 것 같습니다. 

참고 문헌: 

  1.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2500
  2. https://www.sciencedirect.com/topics/neuroscience/meglitinide#:~:text=Meglitinides%20are%20secretagogues%20like%20sulfonylureas,repaglinide%2C%20nateglinide%2C%20and%20mitiglinide.
  3.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Meglitinide-Analogues-in-Adolescent-Patients-With-Becker-Galler/4ac52f6de9836758e7a8ae8ed526a4c40aef6361/figure/0
  4.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168822704001706
  5.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Graphic-structures-of-meglitinide-D-phenylalanine-repaglinide-and-nateglinide_fig1_11631854
  6.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Structure-and-classification-of-the-sulfonylureas-and-glinides-used-in-this-study_fig2_633708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