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주식 기본서 (1): 포털 증권 페이지 읽기 - PER, PBR, Forward P/E, Forward P/B, etc.

2018. 7. 17. 19:37투자

반응형
투자를 시작할때 가장 파악하기 쉽고 알고 있어야하는 내용은 네이버나 다음의 포털 증권/금융 페이지의 정보입니다. 이 정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면 합리적인 투자 판단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단 국내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포털은 크게 네이버와 다음인데, 네이버는 기업 정보와 토론장이 조금 더 활발하고 다음은 차트를 크게 볼 수 있어서 나름의 장단점이 포털 페이지마다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 증권 페이지는 상단바에 있다. 

  1. 국내 - 국내 증시에 대한 페이지로 이동하고 주가지수에 관련된 개별 종목에 대한 정보가 나타난다. 
  2. 해외 - 해외 증시에 대한 페이지로 주가지수와 주가지수의 기록에 대한 정보만 나타난다. (해외증시에 개별 종목은 국내 포털에서 제공하지 않습니다. Yahoo나 Investing.com을 이용하면 됩니다!)
  3. 뉴스 - 주식에 관련된 뉴스를 모아둔 페이지입니다.
  4. 투자정보 - 증권사 리포트, 재무정보, 목표주가, 증권방송, 증시일정에 대한 주식 투자에 매우 중요한 정보들이 있는 페이지입니다. 
  5. KOSPI 주가 지수 - 코스피 주가지수는 1980년도 1월 4일 100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주가 지수이고, 시장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한 주가지수입니다. 
  6. KOSDAQ 주가 지수 - 코스닥 주가지수는 1996년 7월 1일을 1000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주가지수이고, 시장 시가총액 기준으로 산출이 되는 주가지수입니다.
  7. MY 메뉴는 개별 종목 중 저장한 목록을 보는 곳입니다. 

주가지수 정보에 대해서는 www.krx.co.kr (한국거래소)의 웹사이트를 참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증권 포털 페이지에서 개별 종목을 검색해 들어가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다음의 회사인 카카오를 예시로 설명.)

좌측 상단에는 현재가가 나타난다. 현재가는 직전에 거래된 가격이다. 
현재가 우측에는 거래량이고, 거래량은 거래된 주식 수량이고 거래 대금은 거래된 주식의 원화 환산 총액이다.

전일은 전일종가로서 주식 시장 거래 시간이 끝날 당시에 마지막으로 거래된 가격이다. 
상한가, 하한가는 각각 전일종가에서 +30% 이하까지의 호가, -30% 이상까지의 호가다.
시가는 당일 정규장이 시작할때 마지막으로 거래된 가격이다. 
고가, 저가는 당일 거래된 가격중에 가장 높은 가격, 가장 낮은 가격이다. 

종목의 규모를 알아볼때는 시가총액을 봐야한다. 주식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들은 간혹 종목의 가격이 바로 그 종목의 규모라고 착각하는 우를 범하기도 하는데 그것이 아니다. 종목의 규모는 시가총액으로 현재 가격에 발행된 주식 수를 곱해준 값으로 발행된 모든 주식의 가격을 다 합산한 값이다.

시가총액 밑에는 EPS, BPS, PER, PBR이 나타나는데 이는 회사의 재무와 관련된 지표다.
(1) EPS (Earnings Per Share): 당기순이익/발행주식수, 즉 해당 종목의 회사가 당기(당해)에 결산된 순이익에 발행된 주식수로 나눠준 값이다. 주식 지분 한 주당 얼마나 벌어드리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2) BPS (Book-value Per Share): 자본/발행주식수, 즉 해당 종목의 회사의 당기 결산된 자본에 발행된 주식수로 나눠준 값으로 주식 지분 한 주당 자본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3) PER (Price to Earnings Ratio): 현재가/EPS, 현재가와 EPS 간의 비율로써 벌어드리고 있는 돈에 대비해서 주가가 얼마에 거래되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영미권에서는 P/E라고도 한다. 
(4) PBR (Price to Book-value Ratio): 현재가/BPS, 현재가와 BPS 간의 비율로써 갖고 있는 돈에 대비해서 주가가 얼마에 거래되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영미권에서는 P/B라고도 한다. 

이 개념에서 나아간 것은 Forward P/E, Forward P/B인데 이것은 당기가 아니라 다음 기에 해당되는 당기순이익이나 자본을 예측하여 나타내는 지표다. 아래 네이버 페이지에서 발췌된 카카오의 실적분석표이다. 


보면 맨 우측 열에 2018.12 (E)가 나와있는데 (E)는 Estimate로 아직 발표가 되지 않은 것을 예측하여 기재해놓은 것이다. 저 값은 애널리스트 컨센서스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애널리스트들은 시황, 과거 기록 등에 따라서 컨센서스를 모아서 이 기업이 다음 발표일날 어떤 실적을 보일지 예측한 것이다. (아주 정확하진 않으니 한 반만 믿길 추천한다.) 아무튼 이게 Forward P/E, Forward P/B를 계산하는데 이용하는 지표다. (현재가/Forward EPS, 현재가/Forward BPS를 계산하면 된다.)

주식투자에 대한 기본기를 다룬 첫 번째 포스트입니다. 종목 페이지를 보는 법을 알아봤네요.

키워드: 현재가, 거래량, 거래대금, 전일종가, 상한가, 하한가, 시가, 고가, 저가, 시가총액, EPS, BPS, PER, PBR

질문1. 현재가는 어ㄸ



도움이 되었으면 좋아요 눌러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