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바이로메드에 대해 알아보자

2018. 8. 25. 11:27투자

반응형
바이오 섹터에서 매우 주목받고 있는 신약 개발 회사입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교수였던 김선영 교수님이 재직중에 벤처 기업을 세웠고 본 기업의 신약은 현재 미국에서 3상을 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들어가기 전에: 본 포스팅은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하나의 참고 자료로 여겨주시고 최종 판단과 모든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I. 신약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a) 파이프라인
그럼 지금 개발하고 있는 주력 신약은 무엇일까요? 바로 개발명 VM202인 플라스미드 기반 유전자 치료제입니다. 이 외에도 파이프라인에 더 있지만 지금으로써는 VM202를 살펴보는 것이 우선일 것 같습니다.


허가에 가장 가까운 VM202의 적응증은 당뇨성신경병증입니다. 당뇨성신경병증은 당뇨병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써 혈중 혈당 농도의 과잉으로 인해 신경세포가 죽는 현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이로 인해 겪는 통증은 매우 극심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b) 메커니즘 

(출처: 시티은행 ViroMed 보고서)

VM202는 DNA 기반의 약으로써 근육 주사제를 통해 주입이 되면 주변 세포에 침투해 HGF (간세포 성장 인자)의 두가지 동소체인 HGF723과 HGF728을 만들도록 설계되있습니다. HGF가 세포에서 만들어진 후에 분비되고 주변의 세포들에 있는 c-Met 수용체에 붙게 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c-Met 경로를 활성화 시켜 생화학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혈관신생성을 유도하고 심혈관 리모델링을 방지해줍니다.

(출처: 시티은행 ViroMed 보고서) - c-Met 경로와 경로 최종 효과를 나타내 주는 모식도입니다. 

(c) 기대 임상 효과
가장 관심 있는 DPN의 경우, 모세혈관계가 재생되는 효과가 있고, 신경 세포에 필요한 양분과 산소의 공급으로 이어지며, 독성 대사체들을 제거할 수 있을것입니다. 여기에 더불어 HGF는 신경재생인자로 작용하여 신경 주변에 주입하되었을 시 신경 재생을 촉진 시킬 것입니다. 

(출처: 시티은행 ViroMed 보고서)

기대 효과를 정리하자면
  1. 진통, 2. 신경재생, 3. 혈관재생

II. 임상 진행사항
현재 VM202-DPN은 마지막 3상에 투약이 종료되었다고 7월 26일날 웹사이트에 게시를 했습니다. 게시물에 의하면 마지막 투약 후 9 개월 팔로우업 후에 데이터를 분석하고 게시를 할 것이라 합니다. 

III. 생산 시설 확보
BLA를 신청하기 위해선 신약 생산 가능한 시설을 확보한 것이 중요한데, 미국에서 이러한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Vical사를 인수했습니다. 

IV. 기대 수익력
바이로메드의 기대 수익력은 최근 IR에서 컨설팅사 자문에 의하면 10년차 Peak Sale에서 $14.1B로 추정을 했습니다. 뷰포인트 리서치보다는 조금 적은 액수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합니다. 그래도 여전히 어마어마한 수익력의 밑바탕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당뇨병을 앓고 있는 미국인 중 중증 단계의 당뇨성신경병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수는 매우 많고, 매우 매우 보수적으로 수익력을 추정한 것이므로 실제 세일은 더욱 많을 수 있을것이라 저는 생각합니다. (물론 제 생각일 뿐입니다.)

회사 벨류에이션은 전적으로 지금 VM202에 의존하기 때문에 VM202만 평가했습니다. 향후에 매출이 발생하면서 후속 파이프라인도 무르익으면 계속해서 벨류에이션이 우상향 할 수 있는 모멘텀이 있지 않을까 추측합니다. 

다시 언급하지만 본 포스팅은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하나의 참고 자료로 여겨주시고 최종 판단과 모든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