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간 치료제 전쟁 (4) - 2상에 들어있는 약들, 지방간 치료 향후전망

2023. 1. 23. 20:25투자

반응형

지난 글에서 3상에 있는 약 중 나머지 절반 정도를 다뤘었는데, 이번 글에는 현재 2상 혹은 2상 마무리 하고 3상을 준비하고 있는 약들에 대해서 조금 언급을 해볼까 생각중이다. 이번에 언급할 앞으로 나올만한  지방간약 후보들은 대부분 FGF 유사체, Fibroblast Growth Factor라는 단백질의 경로를 건드리는 약물들에 속한다. 크게 두 분류로 나뉘는데, FGF21과 FGF21 유사체가 아닌 것으로 나뉜다. FGF21 유사체로 작용하는 약 중에 Ambrx에서 BMS로 LO된 약인 Pegbelfermin이 개발 중단됨으로써 소개될 약물이 3개고, 비FGF21에서는 FGF19 유사체인 Aldafermin, FGFR1c/KLB 작용성 단일항체인 MK-3655가 있다. 

우선 FGF, Fibroblast Growth Factor는 단순히 한글로 해석하면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이다. 포유류에서 총 22종이 식별되었고, 이중에서 FGF19, 21, 23등이 호르몬과 같은 기전으로 신호가 전달된다는 것을 확인이 되었는데, 치료제로 개발이 되고 있는 것들은 19와 21 유사체들이다. FGF21와 FGF19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효과를 지닌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정말 온 몸에 다양한 기작을 나타내지만, 핵심적인 것은 간에서 지방 생성을 억제하고, 몸 전체의 대사를 활성화 시킨다. 그러면서 동시에 지방간염의 가장 큰 문제인 염증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서 지방간 자체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간 경화를 막아준다는 것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겠다는 것이 바로 그 논리인 것이다.

FGF21

Efruxifermin이라는 약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 간경화가 존재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를 적응증으로 2상 임상중이다. 미국 주식회사인 Akero Therapeutics (NASDAQ: AKBO)에서 개발하고 있다. 

Pegozafermin이라는 약도 마찬가지로 NASH 관련 치료제를 개발 중이고, 89bio (NASDAQ: ETNB)에서 개발중이다. 

BFK8588A, 로슈사가 인수한 Genentech에서 개발중인 지방간 치료제이다. Genentech과 같은 경우에 2009년도에 비상장 회사로 전환되어서 직접 거래할 수 없다. 로슈사는 스위스 증권거래소에 ROG.S로 상장되어 있다. 

FGF19 

Aldafermin이라는 약은 F2/F3 단계의 지방간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F4 단계와 간경화에 대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한 2상 임상을 진행중에 있다. 현재 NGM Biopharmaceutical (NASDAQ: NGM)에서 개발중이다. 

FGFR1c/KLB 

그 외에 NGM에서 개발하고 있는 약 중에 독일 빅파마인 머크와 합작으로 개발중인 MK-3655가 있다. 호르몬 유사체가 아닌, 호르몬 수용체에 작용제로 작용하는 단일항체인 약이다. 경화 전단계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해 2b 임상중이고, 임상종료예정이 23년도 안에 있어서 늦어도 24년도 안에는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망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라고는 하나, 근본적으로는 지방간 치료제이다. 술과 식습관으로 인해 지방간을 앓고 있더라도,  그 모든것을 개선해도 그 자체만으로는 치료가 안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니 근본적으로는 이러한 치료제들의 개발은 궁극적으로는 지방간을 앓고 있는 모든 이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