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약 - 이뇨제 (4) [e.g. 라식스, 다이크로짇, 알닥톤]

2024. 11. 12. 17:39공부

반응형

오랜만에 혈압약을 커버하려고 합니다. 이제는 가장 마지막인 이뇨제 계통 약물들을 다루면 단일제로의 혈압약은 마무리가 됩니다. 이번에도 그렇게 내용이 많은 부분은 아닙니다. 

이뇨 효과는 오줌이 만들어지는 신장의 사구체라는 곳에서 물이 다시 재흡수되어 몸 안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 재흡수에 영향을 주는 약들이 이뇨제라고 일반적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임상에서 이뇨제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원위 세뇨관 계통, 루프 계통, 알도스테론 길항제가 주로 임상에서 사용되는 혈압 관리하는 약입니다. 이런 종류의 약들은 체액의 총 부피가 작아지므로 혈압이 낮아지는 원리입니다. 

#원위 세뇨관 계통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혈압약 계통입니다. 이중에서도 다이크로짇 (Hydrochlorothiazide)이 가장 많이 활용이 됩니다. 원위세뇨관에 작용해 나트륨의 5-7% 정도를 흡수하는 NCC (Sodium Chloride Cotransporter)를 막아서 나트륨 재흡수를 막는데, 이것이 세포 사이질의 삼투압을 낮춰 물의 재흡수가 이루어집니다. 

 

약은 크게 다이크로짇 (Hydrochlorothiazide), 하이그로톤 (Chlorthalidone), 후루덱스 (Indapamide) 정도가 있습니다.
#다이크로짇  #하이그로톤  #후루덱스 

이 약들은 혈압을 낮추고 심장부담을 낮추는데 용이해서 그 부분에 많이 사용하기도 하지만, 다이크로짇은 전정기관 압력 낮추는데에도 쓰이고 있습니다. 메니에르병이 있거나 전정기관염으로 인한 어지럼증에 따라서 사용이 됩니다. 

#루프 계열 

루프 이뇨제들은 헨레 루프에 있는 NKCC2 (Sodium Potassium Chloride Cotransporter 2)를 막는 약입니다. 원리는 다이크로짇과 동일하지만 작용하는 이 부위가 나트륨의 25-30%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훨씬 강력한 이뇨 효과를 나타냅니다. 

대표 제품은 라식스 (Furosemide), 토렘 (Torsemide) 요렇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라식스정 #토렘정

혈압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체액의 부피를 많이 줄이는 효과가 있어서 사지 부종, 폐 부종과 같은 온갖 체액 관련 증상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원위 칼륨 보존성 계통

원위에는 ENaC이라는 나트륨 채널이 있습니다. 2-3%의 나트륨이 이 채널을 통해 나가게 되고, 알도스테론의 신호를 받습니다. 여기서 자주 사용되는 것은 알닥톤 (Spironolactone)입니다. ENaC을 직접적으로 저해하는 성분인 Amiloride와 Triamterene도 있지만 전자만 국내에 아미로 (Amiloride)라는 제품으로 허가되어 있습니다.

#알닥톤정
#스피락톤정

알닥톤만 자주 사용되는데에는 ENaC에만 작용하는 것으로는 효과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ENaC이 알도스테론 신호에 유도가 되지만, 알도스테론의 소변 저류 효과는 단순히 ENaC에 의한 것보다 훨씬 크기 때문입니다. 

여담이지만 알닥톤은 남성 호르몬의 구조와 유사하기 때문에 남성 호르몬 수용체의 길항제로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오프라벨로 여드름이나 탈모의 보조요법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삼투성 이뇨제 

유레아, 만니톨 등이 삼투성 이뇨제로 작용하게 됩니다. 신장 사구체에서 여과는 되나 재흡수는 되지 않기 때문에 세뇨관으로 물이 삼투하도록 유도하는 약들이 있습니다. 

#근위 세뇨관 계통

탄산 무수화효소 (Carbonic Anhydrase, CA)를 억제하는 약들이 근위 세뇨관에서 이뇨 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 대표 제품으로는 아세타졸 (Acetazolamide)가 있고 혈압용으로는 사용 빈도가 낮아서 밀리게 되었습니다. 좀 쓰임새가 독특한 것들이 있어서 다른 포스팅에서 커버하도록 하겠습니다. 

#아세타졸정

#마치며 

여기서 사용되는 이뇨제들은 혈압 관리에서 요긴하게 사용 되고, 체액성 증상과 같은 경우에는 근간이 되는 약물들입니다.

참고 문헌: 

  1. https://health.chosun.com/healthcareColumn/column_view.jsp?idx=11111&cidx=341
  2. https://www.ekjm.org/journal/view.php?number=21869
  3.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211383520307206
  4.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fullarticle/2800428#:~:text=Torsemide%20has%20increased%20bioavailability%20and%20a%20longer%20half%2Dlife%20than%20furosemide.&text=Torsemide%20may%20also%20have%20beneficial,ventricular%20remodeling%2C%20and%20natriuretic%20peptides.
  5.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329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