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정리 (3) - 베타 차단제, 베타 블로커의 전반적인 정리

2023. 7. 21. 17:35공부

반응형

혈압약으로 쓰이는 베타 차단제 (Beta adrenergic antagonist, 를 조금 더 심도 있게 알아보려고 한다. 이 계열의 약은 상당히 전통적인 계열의 약이면서, 서서히 혈압에서는 1차 치료제에서는 물러나고 있는 추세다. 

우선 베타 수용체는 교감 신경계 (Sympathetic nervous system)의 일부로, 인체의 여러 기관과 조직에 두루 분포하고 있다. 베타 수용체는 3가지, 베타1부터 베타3 아형 (B1-B3)으로 존재한다. 이런 효과 때문에 베타 블로커는 여러가지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Beta-Adrenergic Blockade in Critical Illness, Frontier Science

몸에서 카테콜아민 호르몬으로 분류되는 에피네프린 (Epinephrine),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이 있고, 이 신경 전달 물질이자 호르몬은 B1 수용체에 결합을 하며 심장의 박동을 반복적으로 뛰게 하는 심장 자동성을 더 빠르게 뛰도록 조절을 하며, 동시에 레닌 분비를 촉진해 혈압을 올린다. 

반면에 이런 호르몬이 B2 수용체에도 결합을 하는데, B2의 경우에는 혈관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그 반대의 효과를 주기도 한다. 베타 블로커는 이런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이 작용하는 알파, 베타 수용체 중 베타 수용체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베타 수용체 B1, B2, B3는 전부 분포와 비율이 기관이나 조직별로 다르고, 베타 블로커 역시 이러한 수용체에 특이성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내는 효과가 조금씩 다르다.

베타 블로커는 크게는 베타1 선택적 길항제, 비 선택적 길항제로 나뉘는데 그 큰 분류에서 추가적인 기능이 있거나, 내재적 교감 활성이 있거나, 알파 수용체까지 차단하는 효과가 있는지에 따라 세부적으로 나뉜다.

베타 블로커 약물표

분류  부분류 성분명 흔한 상품명 비고
비선택적   Propranolol 인데놀 - 혈압 외 용도로 자주 쓰이는 약. 
  Nadolol 나도가드 - 인데놀에 비해 긴 작용시간 때문에 갑상선 항진증 환자와 같이 긴 시간 작용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많이 사용된다. 
  Timolol 리스몬, 코솝, 티마박 - 주로 안압 낮춰주는 녹내장 안약제제로 사용
알파1 차단능 Carvedilol 딜라트렌 - 어마어마하게 많이 사용되는 약. 심박출량 저하 심부전 환자에서는 가장 선호되는 약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Labetalol   - 주사제만 있음.
칼륨 채널 차단 Sotalol 소타론 - 베타 블로커보다는 포타슘 채널 차단제로써 항 부정맥제로 쓰인다. 
내인성 교감 활성 (ISA)  Carteolol 미케란 - 안압 낮추는 효과용으로 많이 활용된 정제도 있음.
Pindolol  - - 내인성 교감신경 활성화 작용 (Intrinsic Sympathomimetic Activity)가 있으면 특별한 경우 아니면 사용 안함. 
- 우리나라 허가 품목도 아닌듯 하다. 
Penbutolol  -
선택적 Acebutolol -
Celiprolol 셀렉톨 - 비교적 나중에 나온 ISA 베타 차단제
  Atenolol 테놀민 - 나이가 젊을 수록 효과가 좋다고 한다. 
  Bisoprolol 콩코르 - 부작용이 가장 적은 편이다. 
  Betaxolol 베톱틱, 부광켈론 - 이것도 주로 안압 낮추는 효과용으로 많이 활용된다. 정제도 있음.
  Metoprolol 베타록  
NO 매개 혈관확장  Nebivolol 네비레트 - NO를 발생시키는 기전이 B3 수용체 작용을 통한 것이다. 사실상 ISA 작용이나 긍정적인 작용이어서 일반적인 ISA로 분류 안한다. 
- NO로 인해 혈소판 응집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 
  Esmolol 브레비블록 (주) - Class II 항부정맥제로 활용이 되는 경우가 많다. 

사실 베타 차단제는 이제 와서는 1차 약에서 물러나고 있는 추세이다. 심박출분율 감소 된 심부전 환자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HFrEF)이거나, 허혈성 심질환 (Ischemic Heart Disease, IHD) 에서 주로 선호가 된다. 혈압 한정으로는 일반적으로 1차적으로 고려해볼만한 것은 B1 차단제다. (약물표 참조)

일반적인 부작용

일반적으로 ISA가 없는 베타 차단제에서 나타나는 장기 복용 부작용은 HDL 감소와 중성지방 (Triglyceride, TG)의 상승으로 지질이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런 이상지질혈증을 유발하는 것은 ISA가 있는 약들에선 잘 발생하지 않는데, 특히 베타1 수용체만 막는 약들 중에 보고 되는 경우가 많다. 

참고 자료: 
1. JACC, 2017 ACC/AHA/AAPA/ABC/ACPM/ AGS/APhA/ASH/ASPC/NMA/PCNA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2. 청년의사 기사, '[지상연수강좌] 기존 β-blocker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β-blocker, ‘Nebivolol’'
3. Frontier Science, "Beta-Adrenergic Blockade in Critical Illnes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