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2) - 메트포르민 (e.g. 글루코파지, 다이아벡스)

2024. 11. 17. 11:34공부

반응형

당뇨 환자에게 가장 기본적으로 처방이 되는 약물은 메트포르민입니다. 메트포민 혹은 메트포르민, 국내에서의 정식 명칭은 메트포르민이지만 편의상 메트포민이라 부르겠습니다. 

#목차

  • 분자 기전
  • 혈당 강하 효과
  • 주의사항
  • 제품
  • 마치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지닌 성분으로 굉장히 오랜 기간동안 당뇨 환자들의 1차 약물로 선택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이 약은 표적 중심적 약물 개발 과정이 생기기 전에 발견된 약물이기 때문에 정확한 기전을 찾는 것이 지난 몇년 간 큰 과제였습니다. 작용 기전이 복잡해서 여태까지도 연구가 되고 있는 약물이기도 합니다. 

#분자 기전

메트포민의 혈당 조절과 강하 기전은 아직 완전하지 않습니다. 영향을 주는 표적과 그 기전은 일부 밝혀져 있지만 모든 효과를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그림이 완벽하지 않습니다. 

>제1복합체

메트포민은 미토콘드리아의 제1복합체를 억제하고 세포 내 AMP 농도를 올려 AMPK의 활성을 높게 만드는 것이 기존에 주요 기전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지질, 당 생산을 막는 역할을 하고 항염증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 주로 받아드려지는 가설입니다. 최근에는 메트포민의 AMPK 비의존적 경로 효과에 대해서도 주목을 받았었습니다. 치료 효과를 내기 위해 워낙 고용량이 필요한 경우들도 있어서 다양한 기전 경로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 바도 있습니다. 

>제4복합체

메트포민이 미토콘드리아의 제 4 복합체를 저해하는 것은 쥐 실험 결과에서 제기된 가설이지만 아직 이에 대한 논쟁이 좀 있다고 합니다. 

>리소좀

메트포민은 또 리소좀의 AMPK를 AMP 비의존적 경로로 활성화 시켜서 혈당 조절을 하는 역할을 합니다. PEN2라는 곳에 결합을 해 결과론적으로 리소좀에 붙어있는 AMPK의 인산화를 유도하고 이것이 GLP-1 분비 유도를 통해 혈당 강하 효과를 내고 간의 지방 축적을 막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혈당 강하 효과

메트포민은 근육과 간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고, 간에서의 당 생성을 억제하고 장에서의 당 흡수를 늦춰 식사 혈당, 식후 혈당을 낮추는 효과를 통해 당뇨 관리를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메트포민은 이와 더불어 약간의 체중감량 효과가 있기 때문에 당뇨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500 mg 하루 2번 복용 기준으로 당화혈색소를 측정을 하면 8주차 정도에 약 14% 정도의 강하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당뇨 중증 환자가 아니라면 굉장히 효과가 좋은 것 같습니다. 

#주의사항

메트포민과 같은 경우 가장 흔한 부작용이 메스꺼움과 같은 위장관 문제입니다. 이런 부작용은 식사 직후나 식사 도중에 먹는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복용 방법을 잘 알고 있을 때 일반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 예상해볼 수 있겠습니다. 

중증 신질환 환자 (eGFR <30), 중증 감염자와 임부에는 금기기 때문에 메트포민을 피해서 복용해야 하는 환자군입니다.

또 병원에서 안내를 하겠지만 이 약물은 요오드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를 하는 경우 젖산 산증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에 검사 약 2일 전에 중단을 보통 안내합니다. 

일부 환자의 경우 코발라민 (Vitamin B12)이 고갈되는 경우들이 있어 메트포민을 복용 중이라면 코발라민을 같이 복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종합 비타민들에 들어 있어서 같이 먹으면 좋습니다. 

#제품

가장 대표 제품은 머크사에서 나온 글루코파지입니다. 1000 mg XR 서방형 제품이 가장 흔하고, 500 mg, 1000 mg 일반 제품이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대웅제약의 다이아벡스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250 mg, 500 mg, 1000 mg 일반 제형과 500 mg, 1000 mg XR 서방형 제품들이 있어 용량 조절을 잘 할 수 있도록 더 다양한 용량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참고로 메트포민 제품들은 전부 눈보다도 더 하얀 흰색을 띄고 있는데 이는 메트포민 성분 자체가 이런 하얀색을 띄기 때문입니다. 

#마치며 

메트포민은 현재 당뇨에만 쓰이고 있지만 연구되는 바에 의하면 혈당 강화 이상의 효과들이 있는 것으로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어서 향후에는 다른 적응증으로도 만나볼 수 있는 그런 약물입니다. 당뇨가 아니지만 메트포민의 기타 효과들에 대해서 언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문헌: 

  1.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125-013-2991-0
  2.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238-023-01051-y?fromPaywallRec=false
  3.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19-13668-3
  4.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endocrinology/articles/10.3389/fendo.2021.712200/full
반응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 (4) - DPP4 억제제 (Gliptin 계열)  (2) 2024.11.20
당뇨 (3) - SGLT2 억제제  (0) 2024.11.19
혈압약 (5) - 복합제 리뷰  (0) 2024.11.16
당뇨 (1) - 이론  (1) 2024.11.15
남성 탈모약 (1) - 이론 & 전문약  (1) 2024.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