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소 침착 (1) - 색소 침착 원리

2024. 10. 30. 00:43일반약 공부

반응형

지금까지는 사실 전문약 위주의 블로그였습니다. 하지만 일반약도 이제 조금 다뤄보려고 아예 새로운 카테고리로 만들었습니다.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목적도 있어서 알아보기 어려운 내용도 조금 들어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약국에서 파는 미백 크림에 대해서 좀 공부를 해 보기전에 색소 침착이 어떤 과정으로 일어나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론

이론은 지루하지만, 그래도 좀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서 공부를 해봤습니다. 색소 침착이라 함은 색소로 인해 피부가 까매지는 증상의 포괄적인 용어입니다. 

색소침착의 근본적인 원인 부터 들어가자면 두 가지 멜라닌의 생성으로 인한 것인데 대부분의 경우 티로신이 전구체인 도파민과 항산화로 유명한 시스테인으로 부터 합성이 됩니다. 티로시네이즈 (TYR)가 여기서 속도 제한 단계(RDS)를 매개하는 효소입니다. 티로신으로부터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다시 산화되어 퀴논계통 화합물로 빠지기 시작하면서 색소로 가는 경로로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합성 반응은 피부 층 깊숙한 곳에 있는 멜라닌세포서부터 합성이 됩니다. 멜라노좀이라는 세포 소기관 속에서 합성이 되고, 이것들을 멜라닌세포의 돌기를 통해 각질 세포 안으로 소기관의 조각인 멜라닌구체 상태로 멜라닌을 주입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전달된 멜라닌구체는 세포 핵 주변에 자리잡게 되는데, 이 세포가 마지막에 탈락이 될 때 까지 안에서 색소로 우리 눈에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피부 색은 총 멜라닌 색소 중에서 유멜라닌 비율이 결정한다고 합니다. 즉, 페오멜라닌쪽 비율이 높으면 오히려 피부톤은 흰 쪽이라는 것입니다. 

이론이 길지 않아서 다행입니다. 제품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뤄보겠습니다. 

참고문헌:

  1.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pcmr.12986
  2.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304091/
  3.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111/jdv.19566
  4. https://www.sciencedirect.com/topics/pharmacology-toxicology-and-pharmaceutical-science/dopachrome
  5.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834696/#:~:text=Melanocyte%20is%20a%20highly%20differentiated,cell%20loses%20the%20proliferative%20potentia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