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Ei와 ARB가 같이 쓰이는 경우 정리
문전 약국에서 근무하다 보면 종종 ACEi, ARB가 같이 나오는 경우들이 있다. 근데 이 것에 대해 이상하게 여기고 병원에 문의를 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이것들은 확실하게 같이 사용되는 경우들이 있다. 원래 임상약학이나 약리학을 배울 때 ACEi, ARB를 처음 접하게 되는 단원은 혈압이다. 혈압을 낮출 때에는 같이 사용하는 것이 크게 의미가 없다. 혈압이 낮아지는데에 보는 이득이 거의 없는 것은 일반적으로 인정이 되는 바이다. 이렇게 되면 혈압을 낮추는 용도로는 두 개를 같이 사용할 일은 없다는 뜻이다.
그럼 언제 이 두가지를 같이 사용할까? 사실 아직도 이 두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은 회의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옳다. 다만, 과거 2008년도에 여러 소규모 임상에서 동시에 사용했을 때 단백뇨와 울혈성 심부전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그 가능성을 제대로 알아보기 위해 여러 대규모 임상시험과 메타분석들이 그 후에 그 주장을 확인하기 위해 있어왔다. 특히 대표적인 대규모 임상은 ONTARGET이나
울혈성 심부전
ACEi, ARB를 같이 사용하는 경우 울혈성 심부전 환자들의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율을 감소시킨다는 결과가 있었다. 다만 사망률이나 모든 원인의 입원율을 감소시키진 않았다. 그러는 동시에 부작용 증가는 혈압에서 관찰한 것과 같이 여전했으니 이것으로 인해서 득을 볼 수 있는 경우는 매우 적을 것이라 생각이 든다.
단백뇨
ACEi, ARB를 같이 사용했을 때 단백뇨를 줄여준다는 결과가 있었다. 다만, 이로 인해서 신장이 급성신부전이 올 가능성도 있다. 거기에 더해서 부작용은 여전하다. 다만, 단독 요법을 사용으로는 반응 하지 않는 불응 환자군인 경우에 사용하는 경우들이 있다.
맺음말
결론적으로 놓고 보면 신장내과나 심혈관내과 등에서는 ACEi와 ARB가 같이 처방이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여전히 회의적인 시선들이 많으나, 이와 같은 처방이 나왔다고 해서 완전히 잘못됐다고 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다만 ACEi는 엔트레스토 (Valsartan-Sacubitril)과는 혈관 부종이 나타날 수 있는 위험 때문에 서로 완전 금기라고 볼 수 있다. ACEi와 ARB의 동시 복용은 이러한 군소 영역에서 사용 될 수 있는 조합임을 인지하고 처방되는 과를 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009946
2. https://www.ismp.org/resources/fda-advise-err-concomitant-use-entresto-and-ace-inhibitors-can-lead-serious-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