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약 공부

여드름 (2) - 일반약 (e.g. 아젤리아크림, 애크논크림, 세비타비겔)

Karpet 2024. 11. 10. 23:37
반응형

지난 포스팅이 여드름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이었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반약들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 과산화벤조일 

강한 살균 효과가 있는 성분입니다. 과산화벤조일은 2.5%, 5% 제품들이 있습니다. 살균기전이 활성산소를 통한 아주 강력한 살균 기전이기 때문에 여드름균이 이것에 내성이 생길 수 없다고 합니다.

국내제품 중에서는 2.5%와 5% 제품들이 있고 대표 제품이 파티마겔, 톡클리어겔 요렇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해외사 중에서는 갈더마에서 나오는 벤작에이씨겔 2.5%짜리가 있습니다. 

최근 문헌에 따르면 2.5%을 쓰는 것을 권고하는데, 그 이유가 딱히 효과가 더 증가하지 않는데 피부를 자극하는 정도만 늘어나기 때문이라 합니다. 5% 이상을 사용하는 사람 중에선 건조한 피부, 자극 받기 때문에 붉어진 것을 호소하는 경우들이 꽤 있습니다. 

# 살리실산

살리실산은 주로 2% 제형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피지를 용해하고 각질 탈락을 유발시켜 막힌 모공의 흐름을 다시 개선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면포에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다만 여드름균에 대한 정균 작용은 없기 때문에 염증성 여드름에는 이 약으로 단독 치료하기 보다는는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대표 제품들은 클리어틴외용액, 애크린겔 요렇게 두 가지입니다. 클리어틴은 바르는 물파스 용기로 나오고 있고, 애크린겔은 겔튜브에 담겨져 있습니다. 약 2주 정도부터가 평균적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시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아젤라산

아젤라산은 국내 유일 제품인 아젤리아크림 뿐입니다. 성분이 아젤라산인데 여드름균에 항균 효과가 있고, 각질 탈락 효과와 함께 여드름 전반에 사용할 수 있는 성분입니다. 

천연물질이기 때문에 자극이 덜하지만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4주 정도가 걸린다고 해서 다른 선택지에 비해 더 오래 사용해야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전에 미백 효과가 있다고 색소 침착 포스팅에서 언급을 한적이 있습니다. 임부도 사용할 수 있고, 피부가 건조해 질 수 있기 때문에 보습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부프로펜 피크놀 +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복합 성분으로 염증을 억제하는 NSAID 성분인 이부프로펜 피코놀과 정균 작용과 항염증 효과가 있는 이소프로필 메틸페놀이 함유되어 있는 제품군입니다. 

하루에 5-6회 많이 발라도 되는 그런 약입니다. 염증성 여드름에 사용하기 적합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효과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그런 경우 다른 수단과 병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니코틴산아미드

일반의약품으로는 현재 나와 있는 제품이 역시 하나입니다. 4% 니코틴산아미드이고 항염 효과와 피지생성 감소 효과로 여드름 전반에 사용할 수 있는 케어 제품입니다. 하루 2회 정도 사용하면 됩니다. 

제품 이름은 세비타비겔 입니다. 세비타비는 중증 여드름에는 단독으로 사용하기는 힘들지만 피지를 줄여준다는 점에서 모든 치료와 예방에 병용을 해볼 수 있는 그런 성분이기도 합니다. 

# 항생제 연고

최근에 동화 약품에서 피부 진정 효과를 추가한 후시딘겔 제품이 나와서 여드름이나 염증성 병변에 사용하면 좋아 보이는 제품입니다. 

항균 효과와 진정 효과가 있는 티트리오일이 같이 있기 때문에 특히 여드름 관리시 터진 여드름에 발라 추가 감염이나 여드름 재발을 막아주는데 사용할 수 있어 좋을 것 같습니다. 

항생제 연고들은 이외에도 에스로반, 베아로반 등의 무피로신 계열 약품들이 있고, 티로트리신겔이나 바스포와 같은 바시트라신, 네오마이신, 폴리믹신B 복합 항균연고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흉터 연고   

흉터 연고들은 헤파린나트륨이 주 성분으로 흉터 원인인 콜라겐을 감소시켜 흉터를 억제하는 원리이다. 피부 자극이 잦아서 튀어 올라온 여드름 흉터들에는 효과적이지만 깊게 파인 여드름 흉터들은 피부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콜라겐이 형성이 되지 않아서 생기는 움푹 패인 흉터에는 기전상 전혀 효과가 없을 것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성분들은 항염증과 세포 회복을 유도하는 알란토인, 그리고 보습과 항염 효과가 있는 덱스판테놀 등이 섞여 있습니다. 대표 상품들은 노스카나겔, 아크스카클리어겔, 스카덤클리어겔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여드름 흉터들은 파인 흉터기 때문에 그런 흉터 개선 기대는 어렵습니다. 여드름으로 인한 색소 침착과 붉은끼 등을 제거하는데에는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여드름 상처가 있는 경우에는 이런 연고를 사용하는 것이 썩 좋다고 할 수는 없는게 오히려 콜라겐 형성이 필요한 경우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게 광고 허가는 여드름 흉터로 나 있어서 마치 모든 여드름 흉터에 사용 가능한 것 처럼 되어 있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한 이해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마치며 

여드름약들은 사회적,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로 일반약 조차도 연고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할 필요가 있는 부분입니다. 관련 환자분들도 열심히 연구를 해 오는 분야기 때문에 서로 더 잘 이해하고 있을 필요가 있는 분야인 것 같습니다. 

참고문헌:

  1.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969667/
  2.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405580823001590
  3. 약학정보원, “심상성 여드름 (acne vulgaris)”, 서울성모병원 약제부 UM 최선 
  4. http://www.kooae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4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