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약학 복습2 - 비마약성 진통제와 마약성 진통제

Karpet 2021. 6. 12. 14:41
반응형

진통제 분류에서 다음 진통제로 사용하는 것들에 대해서 조금 더 보겠습니다. 

우선 비마약성 진통제 중에서는 일반적인 통각에 듣는 것들이 있는 반면 신경병성 통증에 자주 사용하는 약물들이 있습니다. 

NEJM에 올라온 진통제 관련 정보입니다.

기존 포스팅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 NSAID들을 다뤘기 때문에 여기서는 신경병증 통증에 활용이 되는 약물들입니다.  

약물 이름 용량 부작용 추가 정보
가바펜틴 (Gabapentin) 300-1200 mg 씩 하루 번  어지럼증, 졸음증, 사지부종, 열, 감염증, 어지럼증, 운동 능력 저하, 시력 흐림, 자살 충동의 위험성 증가  - 신장 기능 저하자는 용량 조절 필요
- 약물 오, 남용 가능성 있음
- 의존성이 보고 된 바 있음.
프레가발린 (Pregabalin) 150-300 mg 씩 하루 번 
듈록세틴 (Duloxetine) 60 mg 씩 하루
(일 부 환자는 30 mg 씩 하루 두번)
어지럼증, 두통, 입마름, 어지럼증, 혈압 증가, 자살 충동의 위험성 증가  - 갑자기 중단하는 것은 금기
- 다른 세로토닌 작용제들과 함께 사용 조심해야 함.
아미트립틸린
(Amitriptyline)
25-150 mg 한번/혹은 나눠서 두 번
- 단회 최대 용량 75 mg
- 만 >65세에선 하루
75 mg 이상은 주의해야 함 
졸음증, 떨림, 어지럼증, 두통, 심항진증, 기립성 저혈압, 입마름, 변비, 체중 증가, 다한증, 성욕 감퇴, 자살 충동의 위험성 증가  - CYP2D6 대사 저하자는 용량 조절을 해야함. 
- 최근 심근경색이었던 환자는 금기 
- 다른 세로토닌 작용제들과 함께 사용은 조심해야 함.

위와 같은 약물들은 모두 전문 약품이고 처방을 통해서만 사용합니다. 

원래 가바펜틴이나 프레가발린 등은 GABA라는 신경전달 물질의 유사체로 부분발작 뇌전증 치료에도 사용이 되기도 했었습니다. 다만 신경병성 통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뒤로는 그런 용도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이 됩니다. 또한 정신과에서 불안장애에도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듈록세틴은 기존에는 우울증 치료에 사용되던 약물로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SNRI), 아미트립틸린은 기존에는 삼환계 항우울제로 역시 우울증 치료제로 활용이 됐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이 또 통증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은 나중에 알려졌고, 필요에 따라 활용이 됩니다.

또한 외용/국소 마취 및 진통 목적으로 많이 활용하는 약물들은 리도카인, 프로카인, 부피바카인 등의 약물들이 있습니다. 특히 이런 리도카인은 진통 목적으로 활용이 될 때에는 국소작용제로만 활용이 되고, 국소 주사, 크림/겔/분무제, 거즈, 카타플라스마 등 의 부착용 외용제로도 활용이 되는 약물입니다. 이게 특히, 치과 마치제로 많이 활용이 되기도 합니다. 

캡사이신 크림은 효과적이지만 바르자 마자 오는 화끈 거림 (당연히.. 캡사이신 이기 때문에) 때문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은 외용약품입니다. 주로 신경병증 통증에 활용이 되죠. 열린 상처에 활용하진 않습니다.

밑에는 마약성 진통제 복습 내용입니다. 마약성 진통제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처방이 잘 안나갑니다. NSAID가 효과가 없는 참기 힘든 정도의 강한 통증에 주로 활용이 됩니다 (중증 이상의 통증). 이에 해당하는 통증들은 많지 않습니다. 가장 흔한 경우가 암성 통증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성분 용량 기타
모르핀 주사제: 10 mg/mL
정제: 10, 15, 30 mg
강력한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가장 전통적인 아편 계열 마약성 진통제이다. 정제, 주사제 등으로 투약 경로가 다양하다. 
하이드로모르폰 2, 4.36, 8.72
16.35, 32, 64 mg 
저니스타이알정
옥시코돈 10, 20, 40, 60, 80 mg 옥시콘틴서방정 - 주의할 사항은 이 정제는 씹거나 부수어 투여하는 것이 안된다는 점. 아편계 마약물질은 과복용 시 부작용이 크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펜타닐 패치: 12, 25, 50, 100 mcg/hr
주사제: 159 mcg/2mL
이와 유사한 약물은 레미펜타닐, 알펜타닐 등이 추가적으로 있다. 
펜타닐은 패치제로 가장 유명하다. 듀로제식트랜스더말패치가 가장 유명한 브랜드이고 특징은 72시간 (3일)동안 사용할 수 있어서 용법이 1매 3일에 1번이 원칙인 제품이다.  
초기 용량은 25 mcg/hr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3일 마다 25 mcg/hr씩 증량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
복합제
코데인+아세트아미노펜+이부프로펜 AAP 250 mg, Codeine 10 mg, Ibuprofen 200 mg 코노펜. Acetaminophen, Codeine, Ibuprofen 이렇게 3개가 섞여 있는 복합제.
트라마돌 + 아세트아미노펜 AAP/TRMD:
162.5/18.75, 325/37.5
650/75 mg
울트라셋, 파라마셋. 트라마돌이 들어가 있는 복합제. 중증도-중증 통증에 활용할 수 있는 복합제로 트라마돌은 아편 유사 작용과 동시 위의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역할을 동시에 하는 약물이다. 이와 아세트아미노펜과 함께했을 때 더 좋은 진통 효과가 나타나 나오는 복합제. 
트라마돌은 가끔 아나필락시스 발작이 나타나기 때문에 투여 후 주의해야 하는 약물이다. 또한 18세 미만 소아에게는 투여하지 않는 약물. 

이러한 아편계 약물들은 문제점이 천정효과가 없다는 점이다.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포스팅에서

아편계열 진통제의 진통 효과는 용량을 늘릴 수록 올라가지만, 너무 과다한 용량을 투여했을 때에는 호흡 중추까지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심하면 사망에 까지 이를 수 있는 부작용이기 때문에 매우 조심을 해서 다뤄야 하는 약물이다. 과다 투여 시에는 아편계열이 주로 작용하는 μ-아편 수용체 (Mu-opioid receptor, MOR)를 억제하는 날록손(Naloxone)을 투여해 해독할 수 있다. 

 

반응형